
조선시대 무관들의 복장은 단순한 ‘군복’이 아니었다. 그것은 그들이 속한 신분과 수행하는 임무, 그리고 왕실 내에서 차지한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상징이자 실용도구였다. 조선의 궁중 복식은 문관과 무관, 상하 계층, 의례와 일상에 따라 명확한 구분이 있었으며, 그 중 무관의 궁중복식은 계급뿐 아니라 업무의 기능성을 반영한 대표적인 사례였다. 특히 그 복식을 구성하는 ‘소재’는 신분과 권위, 활동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철저하게 규정되었다.무관들의 궁중복은 내금위, 금위영, 어영청, 장용위 등 왕을 근거리에서 호위하거나 국왕 행차 시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이들이 입는 복식이었다. 무관은 궁궐 안팎에서 가장 ‘움직임’이 많은 계층이자, 가장 눈에 띄는 위치에 서야 하는 존재였다. 그러므로 이들이 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