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시대 궁궐에서 내시는 단순한 시중을 드는 인물로 그치지 않았다. 이들은 왕과 왕비, 후궁, 세자 등 왕실 구성원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왕권의 실질적인 운영을 보조하는 인물들이었다. 따라서 이들의 복장은 단순한 유니폼이 아니라, 궁중 질서와 신분체계를 시각적으로 드러내는 정교한 복식 체계의 일부였다.오늘날 사극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내시복은 청색 또는 회청색의 철릭에 검은 모자, 흰 버선 정도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 조선 왕실에서 내시가 입었던 한복은 용도, 계급, 행사 성격에 따라 구조와 착용법이 매우 구체적이고 정해진 규칙을 따랐으며, 그 디테일 하나하나가 궁궐 내부의 보이지 않는 규율을 유지하는 장치로 작동하였다.‘내시복’은 왕을 중심으로 한 궁중 권위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