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궁궐은 철저한 위계와 규범 속에서 운영되는 국가 통치의 중심지였으며, 그곳에는 국왕과 왕비, 세자, 후궁뿐만 아니라 수많은 내전 실무자들이 공존했다. 그중에서도 내시(內侍)는 특별한 존재였다. 성기 제거를 통해 육체적으로는 남성이었으나, 사회적으로는 여성의 공간인 내전 출입이 허용된 유일한 남성 계층으로서, 국왕을 가장 가까이에서 보좌하며 기밀과 권위, 질서의 핵심을 지켜내는 역할을 수행했다.이처럼 내시는 단순한 하인이 아니었다. 왕의 의복, 음식, 약제, 비밀문서 관리, 의전 절차 등 다방면에서 실무를 담당했고, 품계에 따라 정식 관직으로 편제되기도 했다. 이러한 그들의 역할은 자연히 복식에서도 구체적으로 드러났으며, 내시 복장은 신분과 역할, 궁중 내 위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상징적 도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