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궁궐은 위엄과 예법, 화려함과 엄격함이 공존하는 장소였다. 그곳은 왕과 왕비, 세자 등의 왕실 인물들뿐 아니라, 그들을 보필하는 수많은 사람들로 구성된 하나의 ‘소우주’였다. 특히 그중에서도 일반 백성의 눈에 잘 보이지 않던 존재가 있다. 바로 내시(內侍)다. 내시는 신체적으로 거세된 남성으로, 왕과 왕실 여성 사이의 공간을 연결하는 독특한 역할을 맡았다. 남자이되 여인의 공간에 출입할 수 있었고, 하인이되 왕의 옆에서 명령을 직접 받기도 하였다. 즉, 내시는 조선 왕조 궁중 시스템 안에서 신분적으로도 성별적으로도 애매하면서도 특수한 존재였던 것이다.이러한 내시의 복식은 단순히 일하는 옷이 아닌, 그들의 정체성을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시각적 도구였다. 궁궐에서 복식은 계급과 역할, 성별,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