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왕조의 궁궐은 단순한 권력의 중심이 아니라, 철저한 계급과 예법이 작동하는 복합적 공간이었다. 그중에서도 ‘여성의 복식’은 개인의 신분과 역할, 왕실 내에서의 위상과 권위를 가장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도구였다. 같은 여성이라도, 후궁과 궁녀는 사회적 지위와 복식 규정에서 전혀 다른 위치에 있었고, 이 차이는 복장과 장신구의 디테일에서 뚜렷하게 드러났다.후궁은 비록 정실 부인은 아니지만, 왕의 승은을 입은 여성이자 국왕의 후손을 출산할 수 있는 존재로 왕실 안에서 일정한 위상을 가졌다. 반면, 궁녀는 신분상 천인(賤人)으로 분류되며 왕실의 행정과 실무를 담당한 여성들이었다. 두 집단 모두 궁궐이라는 동일한 공간에 속해 있었지만, 그들의 옷차림은 철저히 계급과 권한, 역할의 차이에 기반해 설계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