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민생회복 지원금 지급 신청이 시작되었는데요 이를 이용해 지원금 스미싱 및 보이스 피싱이 일어 날 수 있습니다. 이에 관련 내용을 확인하시고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목차
스미싱 및 보이스 피싱의 주요 사기 방법
1. 공공기관 사칭
- 정부기관(예:국민지원금 담당 부처), 시·군·구청, 복지담당부서 등을 사칭해서 '지원금 지급대상자 확인'등의 명목으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보내는 것은 사칭 일 수 있습니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절차를 위해 oo 은행 앱을 설치하라', '본인인증을 해야 된다'등의 요구가 포함되는 것은 사칭일 수 있습니다.
2.지급조건 또는 신청조건 요구
- '선착순 지급', '한도 소진 임박'등의 긴박한 문구 사용하여 조급하게 만들거나 지원금 신청전에 일정금액 입금 또는 선입금, 수수료 등을 요구하여 지원 받기 위해서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것은 사기일 수 있습니다.(금융정보:계좌번호,보안카드,비밀번호,인증서 등)
3.원격제어 앱 설치 유도
- 앱을 설치하면 절차가 간편하다고 속여 원격제어 앱, 관리앱등을 설치하게 한후 휴대폰 내부 정보를 빼내고, 연락처 ·금융앱 등에 접근하는 것은 사기 일 수 있습니다.
4.계좌이체 강조
- 공공복지 지원금 지급 과정에서 '기준 대출을 먼저 상환해야 한다', '지원금이 계좌에 입금되었는데 본인 확인 절차가 필요하다'며 중간에 돈을 이체하게 유도하는것은 사기 일 수 있습니다.
5.가짜 링크 또는 문서 제공
- 공문서나 행정기관 웹 사이트처럼 보이는 가짜 링크, 가자 문서를 보내 클릭하도록 유도하고 주민등록번호, 비밀번고, 인증서 자료등을 입력하게 하는 경우 사기 일 수 있습니다.
예방책 및 대응 요령
-모르는 번호로 오거나 공공기관 사칭 전화가 '지금당장'행동하라며 압박하는 경우 일단 의심하세요. 문자는 출처를 확인하고 '지원금 지급안내' 링크 클릭 메시지는 함부로 열지 마세요
- 전화상담 중 앱 설치를 요구하면 그것이 원격제어나 금융정보 접근앱인지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바로 설치하지 말고 전화를 끊고 공식 앱스토어나 회사명 검색 후 앱의 진위여부를 검증하시길 바랍니다.
-'지원금 지급 수수료', '기존대출 상환 후 지급'등의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면 100%로 사기로 보셔야 합니다. 절대 계좌이체 혹은 현금 전달요구에 응하시면 안됩니다.
-주민번호, 계좌번호,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비밀번호등의 입력요구는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합니다.
- 피해가 발생했거나 의심되는 경우 즉시 112(경찰), 1332(금융감독원)또는 해당 금융회사에 신고해서 지급정지를 요청해서 피해금 환급절차를 해야 합니다.